>>> 가입하고 혜택받기 <<<* 쿠폰은 가입 시에 쇼핑 정보 수신(이메일 및 문자)에 동의해 주셔야 자동으로 발급됩니다.
정장대여 서비스 "열린옷장"을 아시나요?열린옷장은 옷장 속에 잠들어있는 정장을 기증받아, 꼭 필요한 분들과 공유하는 비영리단체입니다.특히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구직자들에게 사회선배들의 경험과 응원이 담긴 정장을 대여하여 복장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자 시작된 단체라고 하네요.마이케어도 청년들을 응원하는 마음을 보탰습니다. 면접을 앞둔 취준생들에게 겨울은 괜히 더 시리고 추운 계절이 아닐까요? 그래서, 작은것이지만 면접을 보러 오고 가는 길이 더 춥지 않도록마이케어도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봉산업의 핫팩을 기증하였습니다.※ 사진 제공 : 열린옷장기증한 핫팩은 하나씩 챙겨갈 수 있도록 대기공간에 비치하거나, 대여하는 수트 케이스에 넣어드렸답니다.열린옷장을 통해 정장을 대여하신 양정직님의 메시지입니다.포부 가득한 메시지를 읽으면서 저희도 덩달아 가슴 한켠이 따뜻해졌어요.아무 댓가 없이 누군가를 위한다는 것. 보상 없는 나눔, 쉬워보이지만 그만큼 어려운 일이죠. 그래서 작은 것부터라도 시작하기 위해, 조금이라도 '세상을 따뜻하게' 만들기 위한 걸음을 내딛었습니다.앞으로도 따뜻한 이야기를 전해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는 마이케어가 되겠습니다.다가올 봄에는 모두가 지금보다 더 따뜻하고 행복해지기를. 핫팩을 쥐고 면접장으로 향하신 분들이 모두 좋은 결과를 얻으셨기를 바랍니다.그리고 오늘도 참 희한하고 힘든 시대를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모든 분들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숨 막히게 더웠던 여름이 무색하게 어느새 아침 저녁으로 시원하다 못해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10월에 들어서자 급격히 낮아진 기온에 옷장 안에 잠들어 있던 가디건을 찾아야 했는데, 심지어 일부 지역의 최저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도 했었죠.그래서인지 다들 겨울 준비를 하시는 듯 핫팩 문의나 주문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겨울에 핫팩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종종 핫팩 사용법을 묻는 문의가 들어오기도 합니다. 그리고 가끔은 발열이 되지 않는다는 문의도 들어오는데, 겉 포장지를 벗기지 않은 채 사용해서 열이 나지 않았던, 웃지 못할 일도 있었어요.안전하고 따뜻한, 핫팩의 사용법을 한 번 알아볼까요?먼저 핫팩 사용법은 다들 잘 알고 계실거예요.1. 겉 포장지에서 핫팩을 꺼냅니다.2. 약간 흔들며 가볍게 쥐었다 놓아주세요.이렇게 사용법대로 한다면 핫팩은 금방 따듯해질 거예요.그런데 핫팩은 왜 이렇게 금방 따듯해지는 걸까요? 지금부터는 핫팩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겉 포장지를 제거하고 난 핫팩에는 철 가루와 함께 활성탄, 소금, 소량의 물 등 여러 가지 내용물이 들어있는데,우리가 핫팩을 흔들면 공기와 철 가루들이 만나게 되고 마찰이 일어나면서 산화되어 열을 발생시킵니다.원래 철은 산소에 노출이 되면 산화가 되는데 이때 철이 녹슬게 되면서 열이 발생해요.하지만 그 정도는 사람들이 느낄 수 없을 정도의 미세한 열이라서 대부분 모르셨을 거예요.미세하게 발생했던 건 녹이 굉장히 천천히 쓸고 큰 덩어리이기 때문인데,핫팩 속의 철 가루는 입자가 아주 곱기 때문에 산화 반응이 빨리지고 짧은 시간에도 30~70도의 온도까지 올라가게 되는 거죠.철 가루가 공기와 만나는 순간부터 발열이 되는 거고 적정량이 들어있기 때문에흔듦의 정도나 강도에 따라 온도가 더 빨리, 많이 올라가는 게 아니랍니다.그렇게 때문에 핫팩을 너무 강하게, 많이 흔들지 않으셔도 된답니다. 내부의 철가루가 잘 섞일수 있을 정도만 흔들어 주세요.★사용 전 TIP1. 공기에 노출되면 발열이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으실 때는 겉 포장지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해 주셔야 합니다.2. 또한 핫팩의 유통기한은 제조 연월로부터 3년이고, 최신 제조가 아니라고 해서 굳는 건 아니에요. 제조한지 1년 정도 된 핫팩이 굳어있다면 불량일 가능성이 크니 구매한 곳에 문의하여 확인해보시는 게 좋겠죠?핫팩의 올바른 사용법과 원리, TIP을 통해 더 안전하고 건강하게 핫팩을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올해 유난히 더 추운 겨울이 올 거라고 하네요. 핫팩과 함께 따듯한 겨울 보내실 수 있길 바랍니다:D
최근 인도에서 발견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페루발 람다 바이러스도 29개국에서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요.한국에서도 최근 홍대 클럽발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4단계로 격상되고 시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변이 바이러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까요?1. 변이 바이러스의 종류- 영국발 변이 알파 (α)- 남아공발 변이 베타 (β)- 브라질발 변이 감마 (γ)- 인도발 변이 델타 (δ)위의 우려변이 외에도 페루발 람다, 미국발 엡실론, 에타, 이오타, 브라질의 제타, 필리핀의 세타, 인도의 카파 등 관심단계의 변이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2. 현재 가장 많이 확신되고 있는 델타 변이는,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원래 인도변이로 불렸는데요,세계보건기구는 지난 5월 인도변이에서 델타변이로 명칭을 변경하고 알파, 베타, 감마와 함께 우려변이로 지정했습니다.* 우려변이, 관심변이란?기존의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전파성이 증가하거나 중증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백신과 치료제 등의 유효성 저하가 확인되는 경우 우려변이로 지정됩니다. 관심변이는 우려보다 한단계 낮은 변이 바이러스입니다.3.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특징 (감염률, 치명률, 증상 등)증상 :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은 기침, 고온, 후각과 미각의 상실이나, 델타변이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짧아 2~3일 이내에 발병하며 두통, 콧물, 인후통을 동반하며, 청력상실, 관절통, 식욕부진,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합니다.감염률 : 강한 전파력. 알파 변이보다 40~60% 정도 강한 것으로 추정. 스파이크 단백질 (바이러스 외피에서 바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단백질,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때 활용) 의 변이로 건강한 세포를 감염시키고 바이러스 침투가 쉽기 때문에 전염성이 강하다고 합니다.4. 델타 변이에 대한 백신 예방 효과영국 공중보건국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둘 다 2회 접종까지 완료했을 경우 예방 효과가 있으며, 화이자는 88%, 아스트라제네카는 60% 예방효과가 있다고 합니다.감염 자체를 막는 효과는 낮아졌다고 하더라도 중증으로 증상이 악화되는 것은 대부분 피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둬야 할 것 같습니다.보건당국과 시민들의 노력으로 부지런히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느껴지는 최근입니다.접종을 했다고 안심하거나 경각심을 늦추는 것이 싸움을 더 길고 힘들게 만드는 것임을,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꾸준히 개인 방역에 힘쓰는 것이 나와 내 가족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의 유무와 차이는 사람마다 다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접종자 정보 AZ 백신 1차 접종 만 36세 여성 접종직전 체온 : 36.2도 질환 또는 알러지 없음 복용중인 처방약 없음 이전 타 백신 접종 기록 없음 시간 경과별 증상 및 대처 접종 직후 : 접종부위에 약한 뻐근함과 욱신거림, 약한 메스꺼움. 타이레놀 1정 복용. 직후 ~ 12시간 : 접종부위 통증 외에 이상 반응 없음. 체온 36.3도. 12시간째에 타이레놀 1정 복용 12시간 ~ 18시간 : 몸살감기 초반과 비슷함. 관절등에 약한 통증, 약한 오한, 피로감. 접종부위 통증 및 붓기, 강한 열감. 체온 37도. 접종부위와 이마 냉찜질. 18시간 ~ 36시간 : 극심한 몸살 증상. 심한 오한, 피부에 물만 닿아도 아플 정도로 심한 통증, 관절통, 두통, 어지러움, 음식물 섭취 시 약한 메스꺼움. 접종부위 강한 통증. 체온 38도 이상. 19시간, 25시간, 29시간 째에 타이레놀 2정씩 복용. 접종부위와 이마 냉찜질. 36시간 ~ 40시간 : 관절통 및 근육통 서서히 줄어듬. 심한 두통 및 어지러움은 남아있음. 37시간째에 타이레놀 1정 복용. 40시간 ~ 48시간 : 서서히 정상 컨디션에 가깝게 회복. 약한 두통 남아있음. 43시간, 48시간째에 타이레놀 1정씩 복용. ※ 백신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누리첩 (www.코로나19예방접종.kr) 을 참고하세요!